Surprise Me!

[뉴스분석]거침없는 입…‘또 다른 文’ 딜레마

2018-05-02 1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리포트]<br>요동치는 한반도 관련 이야기 뉴스분석으로 이어가겠습니다. 하태원 국제부장 나와 있습니다. <br><br>분석 키워드 부터 소개해 주시죠? <br><br>‘또 다른 文 딜레마’라는 주제를 갖고 왔습니다. 미국에선 문정인 특보를 '또 다른 문'이라고 부릅니다. 문재인 대통령과 성이 같은데다 외교안보정책 결정에 미치는 영향력 탓에 붙여진 별명인데요. 최측근 외교안보 멘토가 이젠 큰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. <br><br>[질문1] 사실 문정인 특보의 거침없는 입담이 어제 오늘 일이 아니죠? 수차례 설화에 그동안 청와대는 어떻게 대응했습니까? <br><br>이제까지는 크게 문제 삼지 않는 분위기였습니다. 특보지만 무보수 명예직이고, 사상과 표현의 자유를 누리는 교수 아니냐는 것이 정권 핵심들의 대체적인 반응이었습니다. <br><br>지난해 6월이었죠. 워싱턴에 간 문 특보가 사드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한미동맹이 깨진다는 인식이 있는데, 그렇다면 그게 무슨 동맹이냐는 자극적인 발언을 해 큰 논란이 벌어진 적이 있지만 홍보라인에서 "신중을 기해달라"는 수준의 구두경고를 하는데 그쳤습니다. <br><br>송영무 국방장관과는 여러차례 논쟁을 벌였죠. 특히 지난해 9월에는 이렇게 험한 말까지 오갔는데 결국 청와대가 경고장을 보낸 대상은 송장관이었습니다. 사실상 문 특보 손을 들어준 셈입니다. <br><br>[질문2] 이번에는 대통령이 직접 나섰다는 점에서 상황을 심각하게 보고 있는 것 같네요. <br><br>한반도 질서의 근본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국면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적극 차단하겠다는 문 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된 것입니다. 청와대도 극 신중모드로 접근하고 있습니다. 들어보시죠. <br><br>[김의겸 청와대 대변인]<br>"우리 정부는 기적처럼 찾아온 기회를 소중하게 다뤄나가겠습니다. 성실하고 신중히, 그러나 더디지 않게 진척시키겠습니다." <br><br>주한미군 철수 문제라는 사안의 민감성도 고려한 것으로 보입니다. 한미동맹의 근간을 흔들겠다는 시도로 비춰질 경우 자칫 문재인 정부의 정체성 논쟁으로 번질 우려를 선제적으로 차단한 셈입니다. <br><br>[질문3] 트럼프 대통령 발언으로 판문점이 유력한 북-미정상회담 개최 장소로 떠올랐는데. 우리 정부도 환영하는 기색이죠? <br><br>문재인 대통령은 6.25 전쟁이 끝났다는 선언이죠. 종전선언을 서두르고 있습니다. 정전협정이 체결된 곳인 만큼 가장 상징성이 강한 곳이라는 점에서 판문점이 최적지라는 생각입니다. <br><br>우리 정부는 판문점에서 남북한과 미국이 공동으로 종전선언을 하는 그림을 구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전세계인이 지켜보는 가운데 가장 극적인 그림을 만들어 내고 싶어 하는 트럼프 대통령에게도 설득력 있는 카드로 보입니다. 김정은이 내려왔던 것 처럼 트럼프 대통령이 판문점 북측을 둘러볼 것이라는 보도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><br>[질문4] 이 시나리오가 현실화되면 중국을 배제한 채 3자간 종전선언이 이뤄지는 셈인가요? <br><br>중국이 절대로 피하고자 하는 모습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. 중국은 정전협정의 서명자인 만큼 종전선언이나 평화협정의 당사자가 되어야 한다는 주장입니다. <br><br>하지만 이와 관련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굳이 중국이 참여할 필요가 있겠느냐는 반응을 내놨습니다. 평화협정 체결이라면 모를까 전쟁이 끝났다는 선언에 굳이 중국까지 숟가락을 얹는 모양새를 피하겠다는 뜻으로 보입니다. <br><br>지금까지 하태원 국제부장이었습니다.

Buy Now on CodeCanyon